본문 바로가기
금융경제

[금융 경제] 국민연금 개혁 (연금개혁법안 통과)

by 똥꼬똥꼬 눈꼽공주 2025. 4. 11.

✅ 2026년부터 달라지는 국민연금제도, 한눈에 정리!



정부는 국민연금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, 노후소득 보장을 강화하기 위해
18년 만의 국민연금법 개정을 단행했습니다.
개정안은 2024년 3월 20일 국회를 통과했고, 2026년 1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.

 

 

https://www.mohw.go.kr/board.es?mid=a10503000000&bid=0027&list_no=1485039&act=view&

 

🔺 1. 연금보험료율 인상 (9% → 13%)

현재는 소득의 9%를 보험료로 납부

2026년부터 매년 0.5%포인트씩 인상

2033년까지 13%에 도달

📌 1988년 3%로 시작 → 1993년 6% → 1998년 9% 이후 지금까지 유지
📌 보험료율 인상은 연금재정 안정을 위한 핵심 조치입니다.

 

💰 2. 소득대체율 상향 (40% → 43%)

소득대체율: 은퇴 전 평균소득 대비 연금액 비율

기존 계획: 매년 0.5%p씩 낮춰 2028년 40% 도달 예정

변경 내용: 2026년부터 43%로 고정

✅ 은퇴 후 받는 연금 수준이 조금 더 올라갑니다.
✅ 노후소득 보장 기능 강화!

e-size="size16"> 

 

📈 3. 연금 기금 고갈 시점 15년 연장 (2056년 → 2071년)

정부 목표: 기금 수익률 1%p 상향 (4.5% → 5.5%)

보험료율 인상 + 수익률 제고 효과로
→ 기금 소진 시점이 2056년 → 2071년으로 15년 연장될 전망

 

 

🔒 4. 국가의 연금 지급 ‘책임’ 명문화

기존: "국가가 안정적 지급을 위한 시책 마련"

개정: "국가가 연금 지급을 보장하며, 필요한 시책을 수립·시행"

💬 국민이 연금제도를 더 신뢰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된 셈입니다.

 

👶 5. 출산 크레딧 확대 (첫째부터 인정)

기존: 둘째아 12개월, 셋째 이상 18개월 인정 / 최대 50개월 한도

변경:첫째아도 12개월 인정/50개월 상한 규정 폐지

🎯 출산으로 생긴 경력 단절 보완
🎯 저출산 대응에도 긍정 효과 기대

 

 

💡  6. 군 복무 크레딧 확대 (6개월 → 최대 12개월)

기존: 6개월 인정

변경: 최대 12개월까지, 실제 복무 기간 기준으로 산입

🎖 군 복무로 인한 소득 공백을 연금 가입 기간으로 보완
🎖 청년층의 노후소득 형평성 개선

 

 

💡 7. 저소득 지역가입자 보험료 지원 확대

기존: 보험료 납부를 재개한 사람만 지원, 최대 12개월 절반 지원

변경: 저소득 지역가입자까지 지원 범위 확대

🔍 구체적인 소득 기준은 대통령령으로 정할 예정
🎯 보험료 인상 부담을 줄여 취약계층 보호

 

 

🗓️ 시행 시점

2026년 1월 1일부터 시행

그 전까지 하위 법령 및 제도 정비가 이뤄집니다.

 

📊 한눈에 보는 요약 표

구분 변경 내용
보험료율 2026년부터 매년 0.5%p씩 인상 → 2033년 13%
소득대체율 2026년부터 43%로 고정
기금 소진 시점 2056년 → 2071년으로 연장 가능성
지급 보장 국가가 지급 ‘보장’ 책임 명문화
출산 크레딧 첫째부터 12개월 인정 + 상한 폐지
군 복무 크레딧 6개월 → 최대 12개월로 확대
보험료 지원 저소득 지역가입자까지 확대

 

🧾 마무리 한마디

이번 개정으로 국민연금이
세대 간 형평성, 재정 안정성, 노후소득 보장이 가능한, 
모두가 안심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연금제도로 나아가길 기대해봅니다